라벨이 나리분지인 게시물 표시

섬현호색 기본 정보: 특징, 자생지, 꽃피는 시기

이미지
출처: 국립생물자원관-https://species.nibr.go.kr/ 섬현호색 기본 정보: 특징, 자생지, 꽃피는 시기 울릉도에서만 자생하는 신비로운 보물주머니, 섬현호색의 모든 것을 알아보세요. 학명, 특징, 꽃말부터 집에서 키우기 어려운 이유와 유사종 구별법까지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이 글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참고내용입니다. 반드시 공식 정보를 확인하세요. 섬현호색 사진 더보기 👆 섬현호색 학명과 주요 특징 알아보기 🌱 봄이 되면 울릉도의 숲속을 연보라색으로 물들이는 작은 야생화, 바로 섬현호색입니다. 많은 분들이 그 아름다움에 끌리지만 정작 정확한 정보는 찾기 어려워하십니다. 섬현호색은 어떤 식물일까요? 우선 식물학적으로 정확한 이름부터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섬현호색의 학명은 Corydalis filistipes Nakai 입니다. 여기서 'Corydalis'는 현호색속을 의미하는 속명이며, 'filistipes'는 '실 같은 자루가 있는'이라는 뜻을 가집니다. 이름처럼 가느다란 꽃자루가 이 식물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분류 : 양귀비과(Papaveraceae) 현호색속(Corydalis)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크기 : 약 10~20cm 높이 로 자라며, 가녀리고 섬세한 느낌을 줍니다. 잎 : 2~3회 잘게 갈라지는 깃꼴겹잎 형태로, 마치 아기 손처럼 작고 귀여운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특징 : 무엇보다 대한민국 울릉도에서만 자생하는 한국 고유종 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다른 지역에서는 자연 상태의 섬현호색을 볼 수 없습니다. 오직 울릉도에서만, 섬현호색 자생지는 어디일까? 🗺️ 섬현호색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이 식물은 섬, 바로 울릉도에서만 자랍니다. 육지의 그 어떤 산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울릉도가 품은 소중한 보물과도 같은 존재입니다. 울릉도 내에서도 아무 데서나 볼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섬현호색은...

단 한 번 맛보면 잊을 수 없는 야생의 맛, 돌부추(콜레스테롤 낮추는 물질)

이미지
출처: 국립생물자원관-https://species.nibr.go.kr/ 단 한 번 맛보면 잊을 수 없는 야생의 맛, 돌부추(콜레스테롤 낮추는 물질) 한 번 맛보면 잊기 힘든 강렬한 풍미를 지닌 울릉도 특산 식물, 돌부추에 대해 아시나요? 일반 부추와는 차원이 다른 맛과 효능, 그리고 흥미로운 자생지 이야기와 집에서 키울 수 있는지에 대한 현실적인 정보까지 모두 알려드립니다. 산림청 국립수목원 콜레스테롤 낮추는 보도자료 보기 👆 출처: 국립생물자원관-https://species.nibr.go.kr/ 울릉도 바위틈이 키워낸 진한 풍미, 돌부추 이야기 🏔️ 우리가 흔히 먹는 부추와는 어딘가 다른 포스를 풍기는 이름, '돌부추'. 그 이름에는 이 식물의 정체성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이름의 '돌'은 돌멩이를, '부추'는 우리가 아는 그 부추를 뜻합니다. 말 그대로 바위틈에서 억척스럽게 자라나는 야생 부추 인 셈이죠. 돌부추의 학명은 'Allium koreanum'으로, 이름에서부터 자랑스러운 '코리아'의 기운이 느껴집니다. 전 세계에서 오직 우리나라, 그것도 주로 울릉도와 동해안 일부 지역의 척박한 바위 지대에서만 자라는 귀한 특산 식물입니다. 거친 해풍과 뜨거운 햇볕을 이겨내며 바위틈에 뿌리를 내린 덕분에, 돌부추는 온실 속 화초처럼 자란 일반 부추와는 비교할 수 없는 강렬한 생명력과 진한 맛을 품게 되었습니다. 울릉도의 자연이 빚어낸, 작지만 강한 보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울릉도 자연의 정수, 나리분지 돌부추가 자라는 울릉도의 독특한 자연환경을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곳 중 하나가 바로 '나리분지'입니다.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이 거대한 분지는 섬 전체의 생태계를 압축해 놓은 듯한 곳으로, 다양한 희귀 식물들이 자생하고 있습니다. 돌부추를 직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