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울릉도 식물인 게시물 표시

붉은 보석 섬딸기의 효능과 특징

이미지
출처: 국립생물자원관-https://species.nibr.go.kr/ 붉은 보석 섬딸기의 효능과 특징 우리나라 섬에서 자라는 특별한 열매, 섬딸기에 대해 궁금하신가요? 이름의 유래부터 자생지, 숨겨진 효능과 맛있는 활용법까지 섬딸기에 관한 모든 정보를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이 글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참고내용입니다. 반드시 공식 정보를 확인하세요. 섬딸기 사진 더 보기 👆 섬딸기, 이름의 유래와 기본 특징 알아보기 🌿 섬딸기라는 이름을 들으면 어떤 모습이 떠오르시나요? 아마 많은 분이 '섬에서 자라는 딸기'를 상상하실 겁니다. 이름 그대로 섬딸기는 우리나라의 특정 섬 지역에서 자생하는 식물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흔히 아는 밭에서 나는 딸기(Strawberry)와는 조금 다른, 장미과 산딸기속(Rubus)에 속하는 나무입니다. 학명은 'Rubus ribisoideus Matsum.'로, 주로 해안가나 숲 가장자리에서 발견되는 낙엽 관목입니다. 키는 약 1.5m까지 자라며, 줄기에는 가시가 있어 야생에서의 강인한 생명력을 짐작하게 합니다. 잎은 둥근 모양에 3~5갈래로 얕게 갈라져 귀여운 단풍잎을 연상시키기도 합니다. 섬딸기의 핵심 특징 분류 : 장미과 산딸기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입니다. 줄기 : 갈색빛을 띠며, 아래로 향하는 가시가 촘촘히 나 있습니다. 잎 : 어긋나게 달리며, 둥근 모양에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톱니가 있습니다. 꽃 : 5~6월경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의 꽃이 피며, 꽃잎은 5장입니다. 열매 : 7~8월에 붉게 익으며, 여러 개의 작은 알갱이가 뭉쳐있는 산딸기 형태를 띱니다. 섬딸기는 이름에 '딸기'가 들어가 있지만, 실제로는 복분자나 산딸기와 더 가까운 친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독특한 자생 환경과 생김새 덕분에 식물 애호가들 사이에서는 꽤 알려진 우리나라 특산 식물 중 하나입니다. 달콤하면서도 새콤한 맛이 일품인 붉은 열매는 여름철...

울릉도 특산, 가시 없는 섬나무딸기

이미지
출처: 국립생물자원관-https://species.nibr.go.kr/ 울릉도 특산, 가시 없는 섬나무딸기 울릉도 고유종 가시 없는 섬나무딸기에 대해 아시나요? 일반 산딸기와의 차이점부터 효능, 활용법, 그리고 집에서 키우기 어려운 이유까지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이 글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참고내용입니다. 반드시 공식 정보를 확인하세요. 섬나무딸기 사진 더 보기 👆 섬나무딸기, 우리가 알던 산딸기와 무엇이 다른가요? 🌱 여름철이면 떠오르는 새콤달콤한 산딸기, 하지만 '섬나무딸기'라는 이름은 조금 낯설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름은 비슷하지만, 우리가 흔히 알던 산딸기와는 몇 가지 결정적인 차이점을 가지고 있어 전혀 다른 매력을 뽐내는 식물입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줄기에 가시가 없다는 점 입니다. 일반 산딸기는 날카로운 가시가 빽빽하게 나 있어 열매를 딸 때 조심해야 하지만, 섬나무딸기는 매끈한 줄기를 가지고 있어 누구나 부담 없이 열매를 수확할 수 있습니다. 이런 특징 덕분에 아이들도 안전하게 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소중한 식물 자원이기도 합니다. 잎의 크기에서도 차이가 드러납니다. 섬나무딸기는 손바닥만 한 큼직한 잎을 자랑하며, 이는 일반 산딸기 잎보다 훨씬 큽니다. 꽃 역시 순백색의 탐스러운 꽃을 피워 관상용으로도 가치가 높습니다. 열매의 맛은 일반 산딸기보다 당도는 조금 낮지만, 특유의 깊고 은은한 풍미가 있어 한번 맛보면 그 매력에 빠지게 됩니다. 한눈에 보는 섬나무딸기 vs 일반 산딸기 가시 유무 : 섬나무딸기는 가시가 없지만, 일반 산딸기는 날카로운 가시가 있습니다. 잎 크기 : 섬나무딸기의 잎이 훨씬 크고 넓습니다. 열매 맛 : 섬나무딸기는 당도가 약간 낮고 독특한 풍미가 있으며, 일반 산딸기는 새콤달콤한 맛이 강합니다. 자생지 : 섬나무딸기는 울릉도 고유종이지만, 일반 산딸기는 전국 각지에서 자생합니다. 이처럼 섬나무딸기는 단순한 산딸기의 한 종류가 아니라, 독자...

울릉도에만 존재한다는 그 보라색 제비꽃의 정체(우산제비꽃)

이미지
출처: 국립생물자원관-https://species.nibr.go.kr/ 울릉도에만 존재한다는 그 보라색 제비꽃의 정체 세계에서 오직 울릉도에만 피어나는 희귀식물, 우산제비꽃의 정체를 아시나요? 이름의 유래부터 학명, 꽃말, 그리고 집에서 키울 수 없는 진짜 이유까지, 신비로운 보라색 꽃의 모든 것을 파헤쳐 봅니다. 이 글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참고내용입니다. 반드시 공식 정보를 확인하세요. 우산제비꽃 사진 더 보기 👆 우산제비꽃 학명과 이름에 담긴 비밀 📜 길가에서 흔히 만나는 제비꽃과 비슷해 보이지만, 우산제비꽃은 그 태생부터 특별한 이야기를 품고 있습니다. 이 식물의 공식적인 이름, 즉 학명은 Viola × woosanensis 입니다. 여기서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은 바로 '×' 기호입니다. 식물 학명에서 '×'는 두 개의 다른 종이 자연적으로 또는 인위적으로 교배하여 태어난 '교잡종'임을 의미합니다. 우산제비꽃은 울릉도에서만 자라는 두 제비꽃, 섬제비꽃(Viola ulleungdoana)과 남산제비꽃(Viola chaerophylloides)이 오랜 세월 자연 속에서 만나 만들어낸 아름다운 결과물 인 셈입니다. 마치 특별한 두 존재가 만나 새로운 생명을 탄생시킨 것과 같습니다. 우산제비꽃의 핵심 정보 학명 : Viola × woosanensis Y.N.Lee & J.Kim 계 : 식물계(Plantae) 문 : 속씨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과 : 제비꽃과(Violaceae) 이름에 들어간 'woosanensis' 역시 의미심장합니다. '우산(woosan)'은 바로 울릉도의 옛 이름인 '우산국(于山國)'에서 유래했습니다. 즉, 이름 자체가 '나는 우산국, 즉 울릉도에서 태어난 특별한 제비꽃' 이라고 스스로를 소개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

단 한 번 맛보면 잊을 수 없는 야생의 맛, 돌부추(콜레스테롤 낮추는 물질)

이미지
출처: 국립생물자원관-https://species.nibr.go.kr/ 단 한 번 맛보면 잊을 수 없는 야생의 맛, 돌부추(콜레스테롤 낮추는 물질) 한 번 맛보면 잊기 힘든 강렬한 풍미를 지닌 울릉도 특산 식물, 돌부추에 대해 아시나요? 일반 부추와는 차원이 다른 맛과 효능, 그리고 흥미로운 자생지 이야기와 집에서 키울 수 있는지에 대한 현실적인 정보까지 모두 알려드립니다. 산림청 국립수목원 콜레스테롤 낮추는 보도자료 보기 👆 출처: 국립생물자원관-https://species.nibr.go.kr/ 울릉도 바위틈이 키워낸 진한 풍미, 돌부추 이야기 🏔️ 우리가 흔히 먹는 부추와는 어딘가 다른 포스를 풍기는 이름, '돌부추'. 그 이름에는 이 식물의 정체성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이름의 '돌'은 돌멩이를, '부추'는 우리가 아는 그 부추를 뜻합니다. 말 그대로 바위틈에서 억척스럽게 자라나는 야생 부추 인 셈이죠. 돌부추의 학명은 'Allium koreanum'으로, 이름에서부터 자랑스러운 '코리아'의 기운이 느껴집니다. 전 세계에서 오직 우리나라, 그것도 주로 울릉도와 동해안 일부 지역의 척박한 바위 지대에서만 자라는 귀한 특산 식물입니다. 거친 해풍과 뜨거운 햇볕을 이겨내며 바위틈에 뿌리를 내린 덕분에, 돌부추는 온실 속 화초처럼 자란 일반 부추와는 비교할 수 없는 강렬한 생명력과 진한 맛을 품게 되었습니다. 울릉도의 자연이 빚어낸, 작지만 강한 보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울릉도 자연의 정수, 나리분지 돌부추가 자라는 울릉도의 독특한 자연환경을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곳 중 하나가 바로 '나리분지'입니다.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이 거대한 분지는 섬 전체의 생태계를 압축해 놓은 듯한 곳으로, 다양한 희귀 식물들이 자생하고 있습니다. 돌부추를 직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