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한국고유종인 게시물 표시

희귀 야생딸기 맥도딸기, 효능과 자생지

이미지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 https://www.nibr.go.kr/ 희귀 야생딸기 맥도딸기, 효능과 자생지 우리나라 고유종인 희귀 야생딸기, 맥도딸기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일반 산딸기와의 차이점부터 숨겨진 효능, 자생지 정보까지 맥도딸기의 모든 것을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이 글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참고내용입니다. 반드시 공식 정보를 확인하세요.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서 맥도딸기 정보 확인하기 👆 맥도딸기, 어떤 식물이고 일반 산딸기와 차이점은? 🌳 맥도딸기(Rubus tozawae var. longisepalus)는 이름부터 호기심을 자아내는 특별한 식물입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산딸기와 같은 장미과 산딸기속에 속하지만,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고유종이라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즉, 전 세계에서 오직 한반도 특정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희귀한 야생딸기입니다. 이름에 '맥도'가 붙은 이유는 최초 발견지와 관련이 깊습니다.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위치했던 '맥도'라는 섬에서 처음 발견되어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지금은 개발로 인해 섬의 형태가 사라졌지만, 그 이름은 이 특별한 식물에 남아 역사를 말해주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일반 산딸기와는 구체적으로 무엇이 다를까요?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꽃받침의 길이 입니다. 학명에 들어간 'longisepalus'가 '긴 꽃받침'을 의미하는 것처럼, 맥도딸기는 다른 산딸기 종류에 비해 유난히 긴 꽃받침을 가지고 있어 꽃이 피었을 때나 열매가 맺혔을 때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마치 열매를 소중하게 감싸고 있는 듯한 긴 꽃받침은 맥도딸기만의 독특한 매력 포인트입니다. 맥도딸기 핵심 특징 고유종: 대한민국 특정 지역에서만 자생하는 한국 고유 식물입니다. 이름의 유래: 최초 발견지인 부산 '맥도' 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외형적 차이: 일반 산딸기보다 훨씬 긴 꽃받침(longisep...

한국 고유종, 단양쑥부쟁이의 모든 것

이미지
출처: 국립생물자원관-https://species.nibr.go.kr/ 한국 고유종, 단양쑥부쟁이의 모든 것 우리나라에서만, 그것도 아주 일부 지역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꽃 단양쑥부쟁이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이름부터 특별한 이 식물의 정체와 특징, 그리고 우리가 꼭 알아야 할 보전 가치까지, 단양쑥부쟁이에 관한 모든 것을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이 글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참고내용입니다. 반드시 공식 정보를 확인하세요. 단양쑥부쟁이 사진 더 보기 👆 '단양'에서만 자라는 특별한 꽃, 단양쑥부쟁이란? 🌱 가을이 되면 들판에 소박하게 피어나는 쑥부쟁이. 하지만 그 이름 앞에 '단양'이라는 지명이 붙으면 이야기는 완전히 달라집니다. 단양쑥부쟁이는 전 세계에서 오직 우리나라, 그것도 충청북도 단양군과 경기도 여주시, 강원도 영월군 일부 지역의 남한강 유역에서만 자라는 한국 고유종 입니다. 다른 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우리 땅에서만 뿌리내리고 꽃을 피우는 아주 특별한 식물이죠. 이름 때문에 단양에서만 발견될 것 같지만, 실제로는 남한강 유역의 특정 환경, 즉 강물이 범람하면서 생긴 모래와 자갈이 많은 땅에서만 살아갑니다. 마치 강물과 약속이라도 한 듯, 그곳에 터를 잡고 매년 가을이면 아름다운 연보라색 꽃을 피워냅니다. 단양쑥부쟁이, 이것만은 꼭! 분포지 : 전 세계에서 오직 대한민국 남한강 유역(단양, 여주, 영월 등) 특징 : 한국 고유종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서식 환경 : 강가의 모래땅이나 자갈밭 등 척박한 환경 개화 시기 : 8월 말에서 10월 초 그래서 단양쑥부쟁이를 만나는 것은 단순히 예쁜 야생화를 보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그것은 곧 우리나라의 독특한 자연환경과 그 속에서 꿋꿋하게 살아남은 생명의 소중함을 마주하는 경험과도 같습니다. PICK 북미 원산의 귀화식물 우선국, 정확한 정보 확인하기 단양쑥부쟁이 학명 및 다...

한국 고유종 날개현호색, 특징부터 서식지 정보

이미지
출처: 국립생물자원관-https://species.nibr.go.kr/ 한국 고유종 날개현호색, 특징부터 서식지 정보 한국 고유종 날개현호색의 모든 것을 알아보세요. 다른 현호색과 구별하는 결정적 특징, 경기, 강원 등 실제 자생지 정보, 신비로운 꽃말까지, 봄의 숲속에서 만날 수 있는 이 희귀식물의 생태를 자세히 설명합니다. 이 글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참고내용입니다. 반드시 공식 정보를 확인하세요. 날개현호색 사진 더 보기 👆 날개현호색 기본 정보: 학명과 생김새 🌿 봄이 오면 우리 숲속에서 조용히 피어나는 야생화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날개현호색’은 이름부터 호기심을 자아내는 특별한 식물입니다.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는 한국 고유종(특산식물) 으로, 그 가치가 더욱 높게 평가됩니다. 이 아름다운 봄의 전령에 대한 기본 정보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날개현호색은 여러해살이풀로, 매년 봄이면 어김없이 우리 곁을 찾아옵니다. 작고 앙증맞은 모습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볼수록 그 매력에 빠져들게 됩니다. 기본적인 식물학적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학명 : Corydalis alata B. U. Oh & W. R. Lee 과명 : 현호색과 (Fumariaceae) 또는 양귀비과 (Papaveraceae) 개화 시기 : 주로 4월에서 5월 사이 크기 : 약 10~20cm 정도로 자라는 작은 식물 꽃 색깔 : 주로 홍자색 또는 푸른빛이 도는 보라색 이름에 '날개'가 들어간 이유는 잠시 후에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잎의 한 부분에 날개 같은 구조가 있기 때문입니다. 꽃은 여러 개가 모여서 피며, 한쪽이 길게 튀어나온 독특한 입술 모양을 하고 있어 다른 꽃들과 쉽게 구분됩니다. 다른 현호색과 구별되는 결정적 특징 🔍 현호색속( Corydalis ) 식물들은 서로 모습이 비슷해 일반인이 구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날개현호색은 다른 현호색들과 구분되는 아주 명확하고 결정적인 특징 을 가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