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Corydalis cornupetala인 게시물 표시

국내 학자가 발견한 신종, 쇠뿔현호색을 아시나요?

이미지
출처: 국립생물자원관-https://species.nibr.go.kr/ 국내 학자가 발견한 신종, 쇠뿔현호색을 아시나요? 2017년 국내 학계에 정식으로 보고된 따끈따끈한 신종, 쇠뿔현호색의 모든 것을 파헤쳐 봅니다. 이름의 유래부터 유사종과 구별하는 방법, 그리고 우리가 이 희귀 식물을 어떻게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까지, 아직은 낯선 우리 야생화 쇠뿔현호색의 매력에 빠져보세요. 이 글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참고내용입니다. 반드시 공식 정보를 확인하세요. 쇠뿔현호색 사진 더 보기 👆 청계산에서 발견된 새로운 우리 꽃, 쇠뿔현호색 이야기 📜 혹시 ‘쇠뿔현호색’이라는 이름을 들어보셨나요? 아마 대부분 고개를 갸우뚱하실 겁니다. 그도 그럴 것이 이 식물은 세상에 알려진 지 얼마 되지 않은, 우리에게는 아직 낯선 한국의 특산 식물이기 때문입니다. 쇠뿔현호색(Corydalis cornupetala)은 2017년, 김영환, 정지환 두 국내 학자에 의해 처음으로 학계에 보고되었습니다. 마치 숨겨진 보물을 찾아낸 것처럼, 경기도의 청계산 일대에서 그 존재가 확인되었죠. 수많은 현호색 종류 중에서도 독특한 특징을 인정받아 새로운 종(species)으로 당당히 이름을 올린 것입니다. 이름의 유래도 참 재미있습니다. 꽃의 뒷부분에 있는 '거(spur)'라고 불리는 꿀주머니가 마치 황소의 뿔처럼 위로 힘차게 솟아있는 모습에서 '쇠뿔'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현호색은 이 식물이 속한 집안의 이름이고요. 이처럼 이름 하나에도 식물의 가장 큰 특징이 담겨 있답니다. 쇠뿔현호색 기본 정보: 학명과 구별되는 특징 🌿 그렇다면 쇠뿔현호색은 다른 현호색과 어떻게 다를까요? 봄이 되면 우리 산과 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호색 종류는 생각보다 많아서 구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몇 가지 핵심 포인트를 알면 쇠뿔현호색만의 매력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소의 뿔을 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