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는기린초' 효능과 '기린초' 구별 방법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 https://www.nibr.go.kr/ '가는기린초' 효능과 '기린초' 구별 방법 가는기린초와 기린초의 차이점이 궁금하신가요? 두 식물을 구별하는 방법과 가는기린초의 숨겨진 효능, 그리고 기린초 나물 먹는 법까지 자세히 알아봅니다. 돌나물과(세덤) 종류인 이 식물들의 모든 것을 확인해 보세요. 이 글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참고내용입니다. 반드시 공식 정보를 확인하세요. 가는기린초 사진 더 보기 👆 ‘가는기린초’란? ‘기린초’와 차이점 🌱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시기, 산이나 들에서 별 모양의 노란 꽃이 옹기종기 모여 피어있는 모습을 본 적 있으신가요? 많은 분이 이를 통틀어 '기린초'라고 부르지만, 사실 자세히 들여다보면 미묘하게 다른 '가는기린초'와 '기린초'가 있습니다. 두 식물 모두 돌나물과(Crassul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세덤(Sedum) 종류 에 포함됩니다. 하지만 이름에서 알 수 있듯 '가는기린초'는 '기린초'에 비해 무언가 가늘다는 특징이 있는데요. 이 둘을 구별하는 것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가장 결정적인 가는기린초 기린초 차이 는 바로 '잎'의 모양입니다. 이 두 식물을 구별하고 싶다면 잎을 유심히 관찰해 보세요. 가는기린초 (Sedum aizoon L.) : 잎이 비교적 길고 가느다란 피침형(창 모양)에 가깝습니다. 잎 가장자리의 톱니가 기린초보다 더 뾰족하고 날카로운 편입니다. 기린초 (Sedum kamtschaticum) : 잎이 주걱 모양이나 도란형(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에 가까워 가는기린초보다 넓고 둥그스름합니다. 가장자리의 톱니도 비교적 뭉툭합니다. 꽃차례에서도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가는기린초는 꽃이 비교적 성글게 퍼져서 피는 산방상 꽃차례를 가지는 반면, 기린초는 좀 더 촘촘하게 모여 피는 경향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