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기린초, 집에서 키우기 전 기린초와 비교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 https://www.nibr.go.kr/ 태백기린초, 집에서 키우기 전 기린초와 비교 태백기린초와 일반 기린초의 차이점을 찾고 계신가요? 잎 모양, 서식지 등 기린초 구별법과 함께 희귀종인 태백기린초의 실내 재배 가능 여부, 월동 정보, 기린초 나물 효능까지 자세히 알아봅니다. 이 글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참고내용입니다. 반드시 공식 정보를 확인하세요. 태백기린초 사진 더 보기 👆 태백기린초란? (학명 및 기본 정보) 🌱 '태백기린초'라는 이름을 들어보셨나요? 아마 생소하게 느끼시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태백기린초(학명: Sedum latiovalifolium Y. N. Lee)는 돌나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 태백산 일대의 고산 지대에서 자생하는 한국 고유종 입니다. 우리가 흔히 '기린초'라고 부르는 식물과는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을 가진 희귀 식물이죠. 잎이 다육질로 통통하며, 여름철 노란 꽃을 피우는 모습은 다른 기린초류와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태백기린초는 주로 높은 산의 바위틈이나 자갈밭처럼 척박한 환경에서 뿌리를 내리고 자랍니다. 이러한 서식 환경 때문에 일반적인 원예종처럼 쉽게 접하기는 어렵습니다. 그 희귀성 때문에 더 많은 관심을 받는 식물이기도 합니다. 학명에 담긴 의미 💡 태백기린초의 학명 Sedum latiovalifolium 에는 이 식물의 핵심 특징이 담겨 있습니다. 속명인 Sedum 은 '앉다'라는 뜻의 라틴어 'sedere'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식물이 바위나 땅에 낮게 깔려 자라는 모습을 표현한 것입니다. 종소명인 latiovalifolium 은 '넓은(lati-)', '타원형의(ovali-)', '잎(folium)'이 합쳐진 단어로, 말 그대로 '넓은 타원형의...